13. about ajax
포스트
취소

13. about ajax

    index

  1. 서론
  2. 기획 및 명세
  3. 패키지 트리
  4. 프로젝트 환경
  5. 메시지와 국제화
  6. 예외 다루기
  7. 검증
  8. 계정 관련
  9. 권한 인터셉터
  10. 도서 관련
  11. 대여 관련
  12. 오프라인 관련
  13. about ajax
  14. 지식 공유 - ajax
  15. DTO, Form, VO, Entity
  16. 후기




ajax 에 대한 견해

약속

ajax 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은 엄격한 약속으로 이루어졌다.
예외 처리의 경우 위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아직 제대로 구현해보진 않았지만 “C001” 같은 코드를 통해
분기문을 수행하는 걸 떠올려보면 약간은 두렵다.

비동기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만을 주고 받는다 생각하고 사용했지만
꼭 여기에 매몰될 필요도 없었다.
내 경우는 변수를 미리 선언해두고 반환 값을 이용하려 했던 적이 있는데
비동기 방식으론 정상적인 수행을 기대할 순 없었다.
이 때는 ajax 를 그대로 사용하되, 동기화 시켰다.

리소스

페이지 전환 없이 데이터만을 주고 받는다는 이점이 있지만,
또 불필요한 데이터까지 받는 다면 뭔가 이상하다.
물론 이것만으로도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dto 를 적극 활용하여 이러한 비용 절약을
극대화 할 때 ajax 의 진가가 나타날 것이라 생각한다.

리다이렉트

전형적인 POST method 를 활용한 통신에서,
ajax 를 사용했을 땐 javascript 문법으로 location 을 조작하여
중복 호출이 일어나지 않게 막았다.

사용자 편의

도서 상세 검색을 포함한 다양한 조건 검색에선,
사용자 편의랍시고 ajax 를 꼭 써야되는 것도 아니였다.
url 상 쿼리 파라미터로 나타나는 검색 조건에 대해
숨길 필요가 없었다.

웹앱

모바일앱으로 넘어간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아직까지 웹앱 밖에 다뤄본 적이 없는 지라
ajax 는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
분명 장점이 상당히 많은 기능인 것은 알 수 있었다.

렌더링을 자바스크립트를 통한 요소 또는 노드 조작으로 진행하여,
프론트 전반적으로 기본은 할 줄 알아야겠다 싶었고,
이번 프로젝트에서 나름 제대로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생각된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